반응형

사자성어/진나라 (시황제, 기원전 221-206년) 8

금성탕지 (金城湯池) - 쇠로 만든 성벽과 펄펄 끓는 물로 가득 찬 해자. 누구도 넘볼 수 없는 난공불락의 요새.

金城湯池쇠 금재 성끓일 탕못 지1. 뜻金 (쇠 금, 8획) 𠆢 (사람 인, 2획)王 (임금 왕, 4획)八 (여덟 팔, 2획) 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4650673fc6ec4ec6b67ed0e82a323ba5金자는 ‘금속’이나 ‘화폐’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예전에는 金자가 금(金)이나 은(銀)·동(銅)·석(錫)·철(鐵)과 같은 다섯 가지 금속을 통칭했었다. 그러나 후에 다양한 금속이 발견되면서 지금은 모든 금속을 통칭하는 용어로 쓰이고 있다. 금문에 나온 金자를 보면 상단에는 뜨거운 열기가 빠져나가는 연통과 아래로는 불을 피우던 가마가 묘사되어 있었다. 그래서 金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금속’이나 금속으로 만들어진 물건과 관련된 의미를 전달하..

양호유환 (養虎遺患) - 범을 길러서 화근을 남김. 화근이 될 것을 길러서 후환을 당하게 됨.

養虎遺患기를 양범 호남길 유근심 환1. 뜻養 (기를 양, 15획) 𦍌 (양 양, 6획)八 (여덟 팔, 2획)良 (어질 량(양), 7획) 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464497fcf0804d66bbda5eb71db8242a養자는 ‘기르다’나 ‘먹이다’, ‘봉양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養자는 羊(양 양)자와 食(밥 식)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글자의 조합으로만 보면 養자는 마치 양에게 밥을 먹이는 모습과도 같다. 그러나 養자의 갑골문을 보면 羊자와 攴(칠 복)자만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목축업을 하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그러나 후에 ‘기르다’나 ‘번식시키다’라는 뜻이 파생되자 攴자를 食자로 바꾸게 되면서 지금의 養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虎 ..

과하지욕 (胯下之辱) - 바짓가랑이 밑을 기어가는 치욕. 큰 뜻을 지닌 사람은 쓸데없는 일로 남들과 옥신각신 다투지 않음.

胯下之辱사타구니 과아래 하갈 지욕될 욕1. 뜻 胯 (사타구니 과, 10획) ⺼(육달월변 육, 4획)夸 (자랑할 과, 6획)[大 (클 대, 3획) + 亏 (어조사 우, 3획)]下 (아래 하, 3획)之 (갈 지, 4획) 辱 (욕될 욕, 10획)辰 (별 이름 진, 7획)寸 (마디 촌, 3획) 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180b44e281ed49d8aa5b12577e6bc925辱자는 ‘욕되다’나 ‘더럽히다’, ‘모욕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辱자는 辰(별 진)자와 寸(마디 촌)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辰자는 농기구의 일종을 그린 것이다. 여기에 사람의 손을 그린 寸자가 결합해 있으니 辱자는 밭일하는 모습을 그린 것이라 할 수 있다. 辱자의 갑골문을 보면..

분서갱유 (焚書坑儒) - 책을 불태우고 선비를 생매장하여 죽임.

焚書坑儒불사를 분글 서구덩이 갱선비 유1. 뜻焚 (불사를 분, 12획) 火 (불 화, 4획)林 (수풀 림(임), 8획)書 (글 서, 10획)曰 (가로 왈, 4획)聿 (붓 율, 6획)坑 (구덩이 갱, 7획)土 (흙 토, 3획)亢 (높을 항, 4획)儒 (선비 유, 16획)亻 (사람인변 인, 2획)需 (기다릴 수, 14획) 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e9e06c70e0fd4255abf5e8e44ab8037f儒자는 ‘선비’나 ‘유교’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儒자는 人(사람 인)자와 需(구할 수)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선비란 학식이 있는 학자를 일컫는 말이다. 조선이 유교를 이념적 기반에 둔 이후 유교나 선비는 조선 사회를 움직이는 힘이 됐었다. 儒자에는 ..

금의야행 (錦衣夜行) - 비단 옷을 입고 밤길을 다님. 아무 보람이 없는 일을 함.

錦衣夜行비단 금옷 의밤 야다닐 행1. 뜻錦 (비단 금, 16획) 金 (쇠 금, 8획)帛 (비단 백, 8획) 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f2323b7c13844bf9b6ecda4434befdb3錦자는 ‘비단’을 뜻하는 글자이다. 비단은 고대 중국의 주요 무역품으로 황실에서는 직조법을 극비로 삼을 만큼 귀한 제품이었다. 錦자는 그 비단 중에서도 가장 좋은 비단이라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錦자는 金(쇠 금)자와 帛(비단 백)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이미 帛자가 ‘비단’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왜 金(쇠 금)자를 넣은 錦자를 따로 만든 것일까? 누에고치에서 뽑아낸 순수한 비단을 뜻하는 帛자에 金자를 결합한 것은 비단에 수를 넣고 금박을 붙였다는 뜻..

홍문지연 (鴻門之宴) - 홍문에서 열린 잔치. 겉과 속이 다른 정치적 담판 혹은 화려하지만 겉과 속이 다른 상황.

鴻門之宴큰기러기 홍문 문갈 지잔치 연1. 뜻鴻 (큰기러기 홍, 17획) 鳥 (새 조, 11획)江 (강 강, 6획)門 (문 문, 8획)之 (갈 지, 4획) 宴 (잔치 연, 10획)宀 (집 면, 3획)妟 (편안할 안, 7획) 2. 유래 유방은 아주 큰 꿈을 품고 있던 장수였습니다. 그의 꿈은 바로 천하를 다스리는 것이었죠. 하지만 그 길은 결코 쉽지 않았답니다. 세상을 지배하려는 또 다른 강한 장수, 항우가 있었기 때문이에요. 항우는 엄청나게 큰 군사를 가지고 있었고, 유방보다 훨씬 강해 보였어요.어느 날 유방이 진의 수도 함양을 점령하여 왕이 되려 한다는 소식을 들은 항우는 무려 40만 명의 군사를 이끌고 유방이 있던 곳, 홍문으로 가 진을 쳤어요.항우의 지혜로운 참모, 범증이 항우에게 말했습니다. “유방..

파부침주 (破釜沈舟) - 솥을 깨고 배를 가라앉히다. 결단을 내리고 물러설 길 없이 전력을 다함.

破釜沈舟깨뜨릴 파가마 부잠길 침배 주1. 뜻破 (깨뜨릴 파, 10획) 石 (돌 석,  5획)皮 (가죽 피, 5획) 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c316b1d4596e4ce3a621484f7afb3fea破자는 ‘깨트리다’나 ‘파괴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破자는 石(돌 석)자와 皮(가죽 피)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皮자는 동물의 가죽을 벗기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여기에 石자가 더해진 破자는 “돌을 벗기다”, 즉 “돌을 깨부순다.”라는 뜻으로 만들어졌다. 이외에도 破자는 ‘(일을)망치다’나 ‘흩트리다’와 같이 상황이 그릇됐음을 뜻하기도 한다.釜 (가마 부, 10획)金 (쇠 금, 8획)八 (여덟 팔, 2획)沈 (잠길 침, 7획)여기서는 '가라앉히다'의..

지록위마(指鹿爲馬) - 윗사람을 농락하여 권세를 마음대로 함

指鹿爲馬가리킬 지사슴 록(녹)할 위말 마1. 뜻指 (가리킬 지, 9획) 扌 (재방변 수, 3획)旨 (뜻 지, 6획)鹿 (사슴 록(녹), 11획)广 (집 엄, 3획)丄 (윗 상, 2획)𠃍 (-, 1획)比 (견줄 비, 5획) 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8c7c5f46f20145a9a6df67315223cbc1鹿자는 ‘사슴’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鹿자는 뿔이 긴 수사슴을 그린 것이다. 사슴은 네발 달린 짐승 중에서는 유일하게 십장생(十長生)에 포함될 정도로 장수를 상징하는 동물이다. 중국을 상징하는 용의 뿔도 사슴의 뿔로 표현하고 있을 만큼 사슴은 신비로운 짐승으로 인식되어 있다. 그래서 鹿자가 다른 글자와 결합할 때는 대부분이 상서롭거나 길하다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