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11

강노지말 (強弩之末) - 강한 활로 쏜 화살도 마지막에는 힘이 떨어져 비단조차 뚫지 못함. 아무리 강한 힘도 마지막에는 결국 쇠퇴하고 만다는 의미.

強弩之末강할 강쇠뇌 노갈 지끝 말1. 뜻強 (강할 강, 11획) 弓 (활 궁, 3획)𧈧 (비록 수, 8획) 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7cee3d53b60b43f19660e04652a6b53a弩 (쇠뇌 노, 8획)弓 (활 궁, 3획)奴 (종 노, 5획) 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ae9a72b0490b4aab90488200221c8985之 (갈 지, 4획)출처: https://haru4idioms.tistory.com/manage/newpost/?type=post&returnURL=%2Fmanage%2Fposts%2F之자는 ‘가다’나 ‘~의’, ‘~에’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글자이다. 之자는 ..

소탐대실 (小貪大失) - 작은 것을 탐하다가 큰 것을 잃음.

小貪大失작을 소탐낼 탐클 대잃을 실1. 뜻 小 (작을 소, 3획) 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7032506d00fc4ffca3f653c0b64f7d01小자는 ‘작다’나 ‘어리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小자는 작은 파편이 튀는 모습을 그린 것이기 때문에 ‘작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고대에는 小자나 少(적을 소)자의 구분이 없었다. 少자도 작은 파편이 튀는 모습을 그린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의 小자는 ‘작다’로 少자는 ‘적다’로 뜻이 분리되었다. 그래서 小자가 부수로 쓰일 때도 작은 것과 관련된 뜻을 전달하지만 때로는 모양자 역할만을 하기도 한다.貪 (탐낼 탐, 11획)貝 (조개 패, 7획)今 (이제 금, 4획) 출처: https://ha..

불비불명 (不飛不鳴) - 새가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음. 뒷날에 큰 일을 하기 위해 침착하게 때를 기다림.

不飛不鳴아닐 불날 비아닐 불울 명1. 뜻不 (아닐 불, 4획) 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b8a72fa8c30f4c3c9c532a550e9769a0不자는 ‘아니다’나 ‘못하다’, ‘없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不자는 땅속으로 뿌리를 내린 씨앗을 그린 것이다. 그래서 아직 싹을 틔우지 못한 상태라는 의미에서 ‘아니다’나 ‘못하다’, ‘없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참고로 不자는 ‘부’나 ‘불’ 두 가지 발음이 서로 혼용되기도 한다.飛 (날 비, 9획)亻 (사람인변 인, 2획)丨 (뚫을 곤, 1획)𠃧 (날 비, 6획) 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317a0970dc5a46cc9837342fb73..

만사휴의 (萬事休矣) - 모든 일이 끝남. 더 이상 손쓸 도리가 없거나 희망이 없는 절망적인 상황을 비유하는 말.

萬事休矣일만 만일 사쉴 휴어조사 의1. 뜻萬 (일만 만, 13획) 여기서는 '모든'이라는 의미 艹 (초두머리 초, 4획)禺 (어리석을 옹, 9획) 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331fb1db1be043aeba1b4d9707cca6d5萬자는 ‘일만(一萬)’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萬자는 艹(풀 초)자와 禺(긴꼬리원숭이 우)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러나 萬자의 갑골문을 보면 앞발을 든 전갈이 그려져 있었다. 萬자는 본래 ‘전갈’을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였다. 그러나 후에 숫자 ‘일만’으로 가차(假借)되면서 본래의 의미는 더 이상 쓰이지 않고 있다. 萬자는 간혹 万(일만 만)자로 쓰일 때가 있는데, 이것은 중국 한나라 때 萬자를 생략해 사용했었기 때문이..

광일미구 (曠日彌久) - 매우 오래도록 시간을 헛되이 보냄.

曠日彌久빌 광날 일활 부릴 미오랠 구1. 뜻曠 (빌 광, 19획) 여기서는 '허비하다, 헛되이 지내다'의 의미 日 (날 일, 4획)廣 (넓을 광, 15획)[广 (집 엄, 2획) + 黃 (누를 황, 13획)] 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afe0d0e72dd74d0bbdb349265e606ad6日 (날 일, 4획)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0cff385c57804508bbae8b6737cd461a日자는 태양을 그린 것으로 ‘날’이나 ‘해’, ‘낮’이라는 뜻이 있다. 갑골문은 딱딱한 거북의 껍데기에 글자를 새기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둥근 모양을 표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日자가 비록 네모난 ..

서시빈목 (西施顰目) - 아름다운 서시가 눈살을 찌푸림. 무조건 남의 흉내를 내어 웃음거리가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西施顰目서녘 서베풀 시찡그릴 빈눈 목1. 뜻西 (서녘 서, 6획) 兀 (우뚝할 올, 3획)口 (입 구, 3획) 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3773993ffc5e45a892757f50d9f737db西자는 ‘서녘’이나 ‘서쪽’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西자는 襾(덮을 아)자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덮다’라는 뜻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西자는 새의 둥지를 그린 것이기 때문이다. 갑골문에 나온 西자를 보면 나뭇가지를 엮어 만든 새집이 그려져 있었다. 소전에서는 여기에 새의 형상이 추가되어 지금의 西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西자는 새의 둥지를 그린 것이기 때문에 ‘새집’이나 ‘둥지’라는 뜻으로 쓰였었지만, 후에 ‘서쪽’이라는 뜻으로 가차(假借)되었다. ..

낭자야심 (狼子野心) - 이리 새끼의 마음은 늘 들판에 있음. 신의가 없는 사람은 쉽게 교화할 수 없음.

狼子野心이리 랑(낭)아들 자들 야마음 심1. 뜻狼 (이리 랑(낭), 10획) 犭 (개사슴록변 견, 3획)良 (어질 량(양), 7획)子 (아들 자, 3획)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92d506f267b64eda91cb4518958486d7子자는 ‘아들’이나 ‘자식’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子자는 포대기에 싸여있는 아이를 그린 것이기 때문에 양팔과 머리만이 그려져 있다. 고대에는 子자가 ‘아이’나 ‘자식’이라는 뜻으로 쓰였었다. 그러나 중국이 부계사회로 전환된 이후부터는 ‘남자아이’를 뜻하게 되었고 후에 ‘자식’이나 ‘사람’, ‘당신’과 같은 뜻이 파생되었다. 그래서 子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아이’나 ‘사람’이라는 뜻을 전달하게 된다.野 (들 야,..

맹모삼천 (孟母三遷) & 맹모단기 (孟母斷機)

1. 맹모삼천 (孟母三遷)자녀 교육을 위해 좋은 환경을 찾아 세 번이나 이사한 맹자 어머니 이야기로, 교육 환경의 중요성을 뜻하는 말.孟母三遷맏 맹어머니 모석 삼옮길 천孟 (맏 맹, 8획)子 (아들 자, 3획)皿 (그릇 명, 5획) 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29759da3a6d746f5b26a47ca44ea91b1孟자는 ‘처음’이나 ‘맏이’, ‘우두머리’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孟자는 子(아들 자)자와 皿(그릇 명)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皿자는 그릇을 그린 것이다. 孟자의 금문을 보면 마치 대야에 담긴 물로 아이를 씻기는 듯한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孟자는 본래 ‘맏이’를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였다. 하지만 ‘맏이’라는 뜻은 주로 兄(맏 형)자가..

금석위개 (金石爲開) - 생각을 한 군데 집중하면 쇠나 돌도 뚫을 수 있음. 어떤 일이든 강한 의지로 전력을 다하면 성공할 수 있음.

金石爲開쇠 금돌 석할 위열 개1. 뜻金 (쇠 금, 8획) 𠆢 (사람 인, 2획)王 (임금 왕, 4획)八 (여덟 팔, 2획) 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4650673fc6ec4ec6b67ed0e82a323ba5金자는 ‘금속’이나 ‘화폐’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예전에는 金자가 금(金)이나 은(銀)·동(銅)·석(錫)·철(鐵)과 같은 다섯 가지 금속을 통칭했었다. 그러나 후에 다양한 금속이 발견되면서 지금은 모든 금속을 통칭하는 용어로 쓰이고 있다. 금문에 나온 金자를 보면 상단에는 뜨거운 열기가 빠져나가는 연통과 아래로는 불을 피우던 가마가 묘사되어 있었다. 그래서 金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금속’이나 금속으로 만들어진 물건과 관련된 의미를 전달하게..

매사마골 (買死馬骨) - 죽은 말의 뼈를 삼. 미래의 큰 이익을 위해 당장의 작은 손해를 기꺼이 감수함.

買死馬骨살 매죽을 사말 마뼈 골1. 뜻買 (살 매, 12획) 貝 (조개 패, 7획)罒 (그물망 망, 5획) 출처: https://hanja.dict.naver.com/#/entry/ccko/7d72582bb2e54739901fef5a7e38864a買자는 ‘사다’나 ‘세내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買자는 网(그물 망)자와 貝(조개 패)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网자가 부수로 쓰일 때는 罒자로 바뀌게 되니 買자는 그물과 조개를 함께 그린 것이다. 그렇다고 할지라도 買자가 그물로 조개를 잡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한자에서 貝자는 ‘화폐’나 ‘재물’을 뜻하고 있으니 買자는 그물로 재물을 쓸어 담는다는 뜻이다. 買자는 그런 의미에서 ‘사다’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다.死 (죽을 사, 6획)歹 (살 바른 뼈 알,..

반응형